Ref. 한항전 BI 블핑북
DME ARC
1. FREQ CHK
2. 현위치 파악
(DME CHK, 5T )
3. CRS on top (Outbound CRS 맞추기)
3.1 ILS 생각(Inital HDG, Lead DME, Turn SQ)
(Initial HDG은 RMI꼬리로 부터 +,- 100)
4. 아크브리핑
ex) ARC Briffing, ---R -D I/O bound from ---VOR, Initial HDG ---, Lead DME --NM, Turn Sequence ---, ARC Briefing Complete
5. Lead DME 도달, Turn__, Tune__
5T
Turn: STD Rate of turn
Time: No
Twist: Tune 10
Throttle: ----RPM
Talk: No
6. Turn 10 Tune 10 계속 수행.
6.1 수시로 Lead Radial 계산
7. Radial 10도 남으면 Turn5, Tune5 하고 인터셉트
8. Inbound: 30도 Outbound: 45도
7. 구해진 Lead radial 값에서 In/Out bound turn
9. Make Arc ___R __D I/O Complete!
DME Arc Ref. PM3 (2010) p.587
DME Arc는 En route 단계에서 착륙을 위한 계기접근 중 Intermediate approach segment나 Final Approach course 로의 전환을 위해 자주 사용되며 몇몇 Departure Procedures(DPs)에서도 사용된다.
Holding
1. Instruction
2. Read back
3. FRQ, ID CHK, 현위치 파악
4. EIOTI
4.1 E: Entry Type 결정
4.2 I: Inbound Course
4.3 O: Outbound HDG
4.4 T: Turn sequence
4.5 I: Initial Heading
5. Entry
5.1 Direct
5.1.1 5T (Turn: Standard rate of turn, Time: no, Twist: Already set, Throttle: Continue, Talk: 울진 ARR, Colle 00, Entering Holding pattern --:--Z)
5.1.2 Out bound HDG Set
5.1.3 Fix 도달시 5T(Turn: SRT, Time: Ready,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 level, --DME Wichever come last Time start)
5.1.4 Time Start
5.1.5 Head Tail wind CHK (정풍 --kt X +2, 배풍 --kt X -2)
5.1.6 30초 후 Initial HDG Set
5.1.7 정, 배풍 고려해서 5.1.5에서 구한값을 1분에 더해주거나 빼주기
5.1.8 5T (Turn: SRT, Time: Rese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level, CDI Center Whichever come First Time Start)
5.1.9 CDI Center, Inbound WCA__, Outbound는 3배 적용
5.1.10 1마일 전 Next HDG Set
5.2 Teardrop
5.2.1 5T (Turn: SRT, Time: Star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울진ARR, Colle--, Entering Holding Pattern --:--Z
5.2.2 Outbound HDG +-30도
5.2.3 30초 Next HDG Set
5.2.4 1분 Turn 5T(Turn: SRT, Time: Rese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CDI Center후 WCA 구하겠습니다.
5.2.5 CDI Center Inbound WCA-- Outbound는 3배 적용
5.2.6 1마일 전 Next HDG Set
5.2.7 5T(Turn: SRT, Time: Ready,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 level, --DME Whichever come last Time Start)
5.2.8 Time start
5.2.9 정풍 배풍 CHK (정풍성분 곱하기 2), (배풍성분 곱하기 -2)
5.2.10 30초 후 Inbound HDG Set
5.2.11 1분에 5.2.9에서 나온 값을 더해준 시간에 Turn
5.2.12 5T(Turn: SRT, Time: Rese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 level, CDI Center whichever first, Time start
5.2.13 '5.2.5'부터 수행
5.3.1 Parallel
5.3.2 5T(Turn: SRT, Time: Star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enterline, Talk: 울진 ARR, Colle--, Entering Holding Pattern --:--Z
5.3.3 30초 Next HDG set
5.3.4 1분 5T(Turn: SRT, Time: Rese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CDI Center후 WCA 구하겠습니다.)
5.3.5 CDI Center Inbound WCA, Outbound는 3배 적용
5.3.6 1마일 전 Next HDG Set
5.3.7 5T(Turn: SRT, Time: Ready,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 level, --DME whichever come last, Time start
5.3.8 Time Start
5.3.9 정풍 배풍 CHK (정풍성분 곱하기 2), (배풍성푼 곱하기 -2)
5.3.10 30초 후 Inbound HDG Set
5.3.11 정풍 배풍 고려한 값을 1분에 더해서 나온 시간에 Turn
5.3.12 5T(Turn: SRT, Time: Reset, Twist: Already done, Throttle: Continue, Talk: Wing level, CDI Center whichever come first, Time start
5.3.13 '5.3.5'부터 시작
Holding Ref. IFH(2012) Holding Procedures
항적과 기상 상황에 따라 체공이 필요할 수 있다. 체공은 ATC의 Further clearance를 기다리는 동안 특정 영역 내로 항공기를 유지시키는 기동이다. Standard holding pattern은 우선회를 사용한는 반면, Nonstandard Holding pattern은 좌선회를 사용한다. Nonstandard pattern이 사용되는 경우 ATC Clearance에 항상 Left Turns가 명시된다.
무풍 상황에서 Standard Holding Pattern을 수행할 경우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Holding Fix를 향해 특정 Inbound Course를 비행
2) 우측으로 180도 선회
3) Outbound Course를 1qnsrks qlgod
4) 우측으로 180도 선회
5) Fix 로 향하는 Inbound Course 비행
Standard Holding Pattern (With Wind)
바람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대칭을 이루는 Standard Holding Pattern이 안그려 진다. 이 때 조종사는 다음을 수행해야 하낟.
1) 바람 영향을 고려 (단, 선회중에는 예외로 한다.)
2) Outbound 시간을 조절해서 1분의 Inbound Leg를 만든다.(단, 14,000ft 이상은 1분 30초)
ps. ICAO DOC 8168, VOL.1에 의하면
2.3.1 Still air condition
Holding Pattern에 진입한 후 Fix를 두번째로 도달 했다면 다음과 같이 Outbound를 진행해라.
a) 시간이 지정된 경우
1) 4,250m(14,000ft) 이하인 경우 1분
2) 4,250m(14,000ft) 초과의 경우 1분 30초
b) DME 거리가 지정된 경우, 해당 거리 도달 후 Inbound Track으로 선회.
위 그림은 좌측풍 상황의 Holding Track을 보여준다. Inbound leg와 Outbound leg에서 편류 수정을 적용, 그리고 Outbound leg 시간을 조절하여 바람의 영향이 보상된다.
Holding Instructions
항공기가 Clearance Limit에 도달 했지만, 추후 Clearance를 받지 않았다면 조종사는 마지막 할당받은 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차트상 Holding Pattern에 따라 Holding을 수행해야한다. Holding Pattern이 차트에 표시되어 있지 않고 Holding instructions가 없다면 Fix에 접근한 Course에 따라 Standard Holding Pattern으로 진입힌다. 그리고 나서 최대한 빨리 Clearance를 요청한다. 딜레이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 ATC는 보통 Fix에 도달하기 5분 전에 Holding Instructions를 준다. Holding Pattern이 차트에 기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 사항들이 ATC clearance에 포함된다.
1. Fix로 부터 Holding 방향. (카디널 8방위)
2. Holding Fix
3. Holding 할 Radial, Course, Bearing, Airway, Route
4. Leg의 길이(DME나 RNAV가 사용되는 경우 마일단위. 조종사가 요청할 경우, 혹은 관제사가 필요하다 판단될 경우 분 단위로 사용됨)
5. 선회방향
6. EFC(Expect further clearance)시간, 그 외 연관된 지연 정보
다음의 경우에도 ATC instructions가 주어진다.
1. 딜레이가 1시간 초과될 것 이라 판단 될 경우.
2. EFC 수정이 필요할 경우
3. 다수의 NAVAID 및 접근 절차가 있는 공항의 경우 Clearance limit을 통해 어떤 접근 절차가 확실히 사용될 지 알 수 없다. 접근관제소는 Initial Contact 중 혹은 그 이후 최대한 빨리 조종사에게 예상 접근 유형을 알려야 한다.
4. Ceiling / Visibility가 해당 공항의 가장 높은 "Circling minimums"이하로 보고 된 경우. 필요에 따라 ATC는 현재 기상상태, 그리고 이후의 변화에 대한 보고를 알려준다.
5. APP Clearance를 기다리며 Holding하는 도중 조종사가 현재 기상이 APP minimums 이하라 알렸다. 이 경우 ATC는 호전된 기상을 기다리며 계속 Holding 하려는 항공기에게, 혹은 다른 공항으로 향하려는 항공기에게 적절한 instructions를 준다.
Standard Entry Procedures
Speed reduction이 필요한 경우 Fix 도달 3분 전에 감속을 시작한다. MHA(Maximum Holding Airspeed) 이하로 Holding Fix를 통과한다. 감속의 목적은 Holding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든 항공기는 아래의 고도, Maximum Holding Airspeed에서 Holding이 가능하다.
다음은 Maximum holding airspeed의 예외사항이다.
1. 6,001ft~14,000ft까지 Holding Patterns가 최대 210kt KIAS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Nonstandard Pattern은 차트에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2. Holding patterns의 maximum airspeed가 175kt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Nonstandard pattern은 차트에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175kt로 제한하는 holding pattern은 일반적으로 Category A 및 B 항공기만 적용되는 IAP에 나타난다.
3. 공군 비행장 Holding Pattern의 경우 최대 310kt (단, 따로 명시된 경우 제외)
4. 해군 비행장 Holding Pattern의 경위 최대 230kt (단, 따로 명시된 경우 제외)
5. Maximum Airspeed 제한을 준수할 수 없는 조종사는 ATC에 보고해야 한다.
Parallel, Teardrop, Direct entry이외에 Entry Procedures를 사용하여도 항공기가 Holding Pattern에 진입할 수 있으며 보호 영역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그러나 FAA가 권장하는 entry및 holding 절차는 Parallel, Teardrop, Direct entry이다.
1. Parallel Procedure. "a"영역의 어떠한 지점부터 Holding Fix를 향해 접근하는 경우 먼저 Fix를 향해 비행한다. 이후 Outbound Course와 평행하도록 Heading을 돌린다. 1분간 Outbound를 비행한 다음 180도 이상 선회하여 Holidng Pattern 방향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Holding Fix로 돌아가거나, 혹은 Holding Course Inbound를 교차한다.
2. Teardrop Procedure. "b" 영역의 어떠한 지점부터 Holding Fix를 향해 접근하는 경우 먼저 Fix를 향해 비행한다. 이후 다음 Pattern 내에서(Holding side에서) 30도 Teardrop entry heading으로 선회하고 이를 1분간 비행한다. 그런 다음 Inbound Holding Course를 교차하기 위해 Holding Pattern쪽으로 선회한다.
3. Direct Entry Procedure. "c" 영역의 어떠한 지점부터 Holding Fix를 향해 접근하는 경우 먼저 Fix를 향해 비행한다. 그런 다음 Holding Pattern을 따라 선회한다.
조종사는 Entry 혹은 Holding도중 모든 선회를 다음과 같이 수행해야 한다.
1. 초당 3도 선회
2. 30도 Bank Angle
3. Flight Director System에서 제공하는 Bank angle (ATP에 의하면 Flight director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Bank angle은 초당 3도 Bank, 25도 bank중 작은 것이 사용된다.)
Time Factors
ATC에 보고하는 Holding pattern진입 시간은 Fix를 통과한 첫번째 순간이다. Holding pattern에 진입했다면 첫번째 Outbound leg를 1분간(14,000ft MSL 이하의 경우), 혹은 1분 30초간(14,000ft MSL 초과일 경우) 비행한다. 적절한 Inbound leg시간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후의 Outbound leg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조종사는 Fix over나 Fix abeam 중 나중에 완료된 때 부터 Outbound시간을 재야한다. Abeam 위치를 결정할 수 없으면 Outbound로 향하는 선회가 완료되었을 때 시간을 재야한다.
Holding Fix를 떠날 때 ATC에 알려야 다른 항공기가 해당 영역을 새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경우 Holding Fix를 떠난다.
1. ATC가 Holding 이후의 En route clearance나 Approach clearance를 발부한 경우,
2. 14 CFR part 91(IFR operations: Two way radio communications failur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pilot-in-command)에서 규정된 상황인 경우,
3. IFR 비행 계획서를 취소한 경우(단, VFR conditions상황에서 Holding중)
DME Holding
DME holding에도 동일한 Entry, Holding절차들이 적용됨. 그러나 시간값 대신 거리값이 사용된다. Outbound leg 길이는 관제사에 의해 지정되고 이 leg의 끝단은 DME 값에 의해 결정된다.
FIX to FIX
1. FREQ
2. 현위치 파악
3. CRS Set
4. Initail HDG SET(FM)
5. 지속적인 HDG 구해서 수정하기
Letaral guidance, Vertical guidance에 따라 IAP의 방법이 달라진다.
1. Precision Approach(PA): Lateral + Vertical
Lateral guidance가 활주로와 align 되도록 해주고 Vertical guidance는 일정된 강하율로 descent되도록 해준다. ex) ILS, PAR, GLS
2. Approach with vertical guidance(APV): Lateral + Vertical (PA와 정보의 종류는 같으나 정밀도의 차이가 있다.) PA와 동일한 내용이지만 정밀도에 따라 다르다. EX)LNAV/VNAV, LPV
3. Non-Precision Approach(NPA): Only lateral
EX)VOR, NDB, Localizer
VOR APPROACH
IFH
PM3
AIM
8158
JAM
AIM
ICM
항공안전법(Lost comm, 공항시설, 계기 필수장비, 등화시설, 홀딩스피드, 차트 내용들,